UbuntuKoreanTranslators
Size: 9954
Comment:
|
Size: 8502
Comment:
|
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. |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. |
Line 3: | Line 3: |
======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운영 규칙 ====== | =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운영 규칙 = |
Line 10: | Line 10: |
== 운영 목적 == | === 운영 목적 === |
Line 13: | Line 13: |
=== 운영 규정의 변경 === * 규정 변경에 대한 의견은 ubuntu-l10n-ko 메일링에 알리고, 팀 관리자 분들과 멤버 분들의 의사에 따라 변경의 여부를 결정하도록합니다. |
|
Line 25: | Line 29: |
=== 활동 === [[https://translations.launchpad.net/ubuntu/ | 런치패드를 이용한 번역]]을 중심으로 합니다. * 배포판별로 작업. * 기존 패키지에서 번역된 파일 업로드 * 미번역 문자열 번역 * 제안 검토, 반영 * 오역 확인 및 수정 * [[우분투_한국어_번역팀_활동|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에 관한 사항은 다음 페이지]]를 참고하십시오. * 번역팀의 멤버가 아닌 사람은 번역 제안을 통해 우분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 === 런치패드 저작권 관련 내용 === |
=== 런치패드 번역물 저작권 관련 내용 === |
Line 49: | Line 42: |
== 운영 규정의 변경 == * 규정 변경에 대한 의견은 ubuntu-l10n-ko 메일링에 알리고, 팀 관리자 분들과 멤버 분들의 의사에 따라 변경의 여부를 결정하도록합니다. |
== 활동 == [[https://translations.launchpad.net/ubuntu/ | 런치패드를 이용한 번역]]을 중심으로 합니다. |
Line 52: | Line 45: |
* 배포판별로 작업. * 기존 패키지에서 번역된 파일 업로드 * 미번역 문자열 번역 * 제안 검토, 반영 * 오역 확인 및 수정 * [[우분투_한국어_번역팀_활동|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에 관한 사항은 다음 페이지]]를 참고하십시오. * 번역팀의 멤버가 아닌 사람은 번역 제안을 통해 우분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 |
|
Line 53: | Line 53: |
==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 방안 == | ===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 방안 === |
Line 55: | Line 55: |
==== 활동 내용 ====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은 http://launchpad.net(이후 LP)을 통한 번역 활동을 수행합니다. |
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은 http://launchpad.net (이후 LP)을 통한 번역 활동을 수행합니다. |
Line 60: | Line 59: |
Line 66: | Line 64: |
== 패키지 == |
==== 패키지 ==== |
Line 74: | Line 71: |
=== 우분투 매뉴얼 === * https://wiki.ubuntu.com/ubuntu-manual === 번역 어투 === |
== 번역 어투 == |
Line 91: | Line 87: |
=== 검토 요청 === 현재 어떤 부분의 번역이 변경되었는지 아직 자동으로 알아낼 수 없으므로 (누가 좀 만들어 주세요!) 번역팀 멤버는 번역 후 메일링 리스트에 자신이 번역한 부분이 어디인지 알려, 다른 멤버들의 검토를 거치도록 합니다. == 논의 사안 == === 번역 용어 선택 기준 === 기본적으로는 (앞으로 만들) 번역 용어 사전에 있는 용어를 이용해야 하지만, 사전에 포함되지 않은 용어의 경우 다음 중에서 어떤 것을 우선하여 사용할 지 기준을 정해야 함 (이 후 사전에 포함시킬 것) |
|
Line 110: | Line 99: |
==== 필요 사항 ==== * 번역 용어 정리 - [[http://ubuntu.or.kr/wiki/doku.php/l10n:번역_용어_사전 | 우분투 위키 자체 용어 사전]] 이것을 기본으로 해주세요. 여기에 없는 항목은 추가해가면서 작업해주세요. * [[http://namhyung.springnote.com/pages/325239 | 제 용어 사전]] 참고 (다른 분들도 링크 추가해 주세요) * [[http://openoffice.or.kr/team/doku.php?id=glossary:%EB%B2%88%EC%97%AD_%EC%9A%A9%EC%96%B4_%EB%A6%AC%EC%8A%A4%ED%8A%B8 | 오픈오피스 용어 사전]]입니다. * [[http://gimp.kr/wiki/doku.php/gimp:glossary | 김프 용어 사전(old)]]입니다. 흑.. 새 사전이 망가졌네요. * 멤버 활동 공유 방안: LP의 (일/주/월 단위?) 활동 통계 - 새로 번역/제안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줌 (아래 링크 4 참조) * 번역 오류 신고 방안 - 메일링 혹은 게시판 개설? |
== 논의 사안 == |
Line 118: | Line 101: |
==== 차후 계획 ==== | === 필요 사항 === * 번역 용어 정리 - 한곳에 정리된 우분투 한글화 단어집 * 런치패드 번역 가이드 - 우분투 번역을 하고싶은 입문자들에게 가이드를 제공 === 차후 계획 === |
Line 120: | Line 107: |
* 우분투 메뉴얼(http://ubuntu-manual.org/, https://translations.edge.launchpad.net/ubuntu-manual/) * 언어팩 자체 배포? * 업스트림 번역팀과 활동 연계? |
* 우분투 메뉴얼(http://ubuntu-manual.org/, https://translations.edge.launchpad.net/ubuntu-manual/) 번역 * 업스트림 번역팀과 활동 연계 |
Line 125: | Line 111: |
==== 참고 문서 ==== - [[https://wiki.ubuntu.com/TranslatingUbuntu/UbuntuSpecificTranslations | 우분투에만 존재하는 패키지 목록]] - [[https://wiki.ubuntu.com/TranslatingUbuntu/UpstreamProjects | 업스트림 번역 프로젝트]] |
== 참고 문서 == - [[https://wiki.ubuntu.com/TranslatingUbuntu/UbuntuSpecificTranslations | 우분투에만 존재하는 패키지 목록]] - [[https://wiki.ubuntu.com/TranslatingUbuntu/UpstreamProjects | 업스트림 번역 프로젝트]] |
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운영 규칙
- 최초 작성자 : atie
- 최초 작성일 : 2006년 5월 4일
아래는 http://launchpad.net의 translate에서 우분투 문서와 패키지의 번역을 하는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을 위한 규칙입니다. 운영 규칙의 강화 또는 완화는 따로 논의를 거쳐 결정됩니다. 이 초안은 작성자가 임의로 정한 것이고 언제든 변경될 수 있음을 알립니다.
운영 목적
- 우분투에 포함되는 패키지와 문서의 한글화에 기여합니다.
- 기존 번역의 오역, 오타 등을 수정하여 번역물의 질을 높입니다.
운영 규정의 변경
- 규정 변경에 대한 의견은 ubuntu-l10n-ko 메일링에 알리고, 팀 관리자 분들과 멤버 분들의 의사에 따라 변경의 여부를 결정하도록합니다.
팀 멤버
자격
Launchpad 회원 : 회원 가입 하기
Ubuntero : Ubuntu Code of Conduct 사인하기 (한글 가이드 업데이트 예정, GnuPrivacyGuideHowTo(영문) 참조)
ubuntu-l10n-ko 메일링 : 메일링 구독하기
- Karma : 런치패드의 Karma 점수가 5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. 카르마는 런치패드에서 활동(번역, 버그 보고 등)을 하면 획득할 수 있습니다. 카르마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갱신됩니다.
- 멤버가 되신 분은 따로이 규정이 변경되지 않는 한, 그리고 스스로 멤버의 자격을 변경하지 않는 한 계속 자격을 유지됩니다.
등록
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에 등록 요청을 합니다.
- 관리자가 등록 요청자의 자격(GPG sign,카르마)을 확인 후 등록 승인을 합니다.
런치패드 번역물 저작권 관련 내용
팀 관리자
자격
번역팀 멤버 중, 운영진 지원 기간동안 Karma 점수가 200점이 넘고 관리의 책임을 자원하시는 분들은 팀 관리자의 자격을 얻게 됩니다.
권한 해제
- 팀 관리자의 Karma가 0점이 되면 관리자의 자격을 해제 합니다. (Karma는 일년간 아무런 활동이 없는 경우 그 동안의 점수는 0점이 되게 됩니다.)
- 팀 관리자 스스로 관리자의 자격에서 물러날 의사를 밝히시면 관리자의 자격을 면제합니다.
활동
런치패드를 이용한 번역을 중심으로 합니다.
- 배포판별로 작업.
- 기존 패키지에서 번역된 파일 업로드
- 미번역 문자열 번역
- 제안 검토, 반영
- 오역 확인 및 수정
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에 관한 사항은 다음 페이지를 참고하십시오.
- 번역팀의 멤버가 아닌 사람은 번역 제안을 통해 우분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
우분투 한국어 번역팀 활동 방안
아래는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의 활동을 체계화하여 기존 회원들의 활동 방향을 정립하고, 새로운 회원의 참여 시 활동에 대한 안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새로운 제안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. 우분투 한국어 번역팀은 http://launchpad.net (이후 LP)을 통한 번역 활동을 수행합니다.
활동 우선 순위
번역 시에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우선 순위를 두고 활동합니다.
배포판
- (1st) 다음에 릴리즈되는 최신 배포판
- (2nd) 현재 최신 버전의 배포판
- (3th) 현재 지원되는 LTS 버전의 배포판
- (4th) 현재 지원되는 일반 배포판
패키지
- (1st) 우분투에만 존재하는 패키지 (아래 링크 2 참조)
- (2nd) 우분투에서 기능을 수정/추가하여 사용 중인 패키지
- (3th) 우분투 기본 설치 시 (LiveCD 사용 시) 사용 가능한 패키지 (업스트림 번역 권장)
- (4th) 우분투 문서
- (5th) 패키지 설명 (업스트림 번역 권장?)
- (6th)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패키지 (업스트림 번역 권장)
번역 어투
- 제목줄 및 메뉴 항목은 명사형으로 끝나도록 합니다. (예: '업데이트 확인' 혹은 '방문 기록 보기')
>> 제목이나 메뉴인지, 설명문인지 스트링만으로 판별이 불가합니다. --- //Mr.Dust 2009/04/30 00:23// >>> 프로그램을 직접 살펴보면서 하는 것이 좋지만 기본적으로 접근키(mnemonic)가 있다면 메뉴 항목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.
- 내용 설명이나 문서 번역 시 경어체를 사용합니다. (예: '이 옵션은 xx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.')
-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하는 의문문의 경우에는 좀 더 높은 경어체(?)를 사용합니다. (예: '계속 하시겠습니까?' (O) , '계속 하겠습니까?' (X))
>> 제가 알기로 '시'가 들어가는 극존칭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따라서 '계속하겠습니까?'가 올바른 것 같습니다. --- //Mr.Dust 2009/04/30 00:27//
- 명령문의 경우에는 청유문으로 바꿉니다. (예: '자세한 설명은 "xxx" 부분을 보기 바랍니다.')
>> 검토의 여지가 필요합니다. 만약 명령문을 그대로 사용한다면, '하시오' 체를 써야 맞습니다. --- //Mr.Dust 2009/04/30 00:27//
- 설정 창 등에서 옵션 항목들은 기본적으로 명사형으로 끝나도록 합니다. 하지만 마침표로 끝나는 문장이 있을 때는 경어체를 사용하여 번역합니다.
메뉴 항목 중 <del>바로가기</del>접근키가 있는 경우 번역 용어 뒤에 공백없이 바로 붙여씁니다. (예: '파일(&F)' 혹은 '열기(_O)...')
>> 바로 가기(shortcut)과 접근키(mnemonic)의 구분이 필요합니다. --- //Mr.Dust 2009/04/30 00:27//
- 실행 시 대체되는 변수 뒤의 조사를 번역하는 경우, 가능하면 해당 변수 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를 추가하여 사용하며,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(변수값이 예측되지 않는다면) 받침이 있는 경우를 우선하여 조사를 붙이고 반대의 경우는 괄호를 이용하여 붙입니다. ('%s 프로그램이 ...' 혹은 '%s을(를) 이용하면 ...')
문서 번역 시 문서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경우, 해당 프로그램의 현재 번역 상태와 일치하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주의합니다. (예: '파일을 가져오려면 메뉴에서 "파일" -> "Import"를 누릅니다.')
일반 용어
- 원어의 발음을 한글로 옮겨 적음 (예: 리뷰)
- 문맥에 따라 알기 쉽게 풀어씀 (다시 살펴봄, 재검토)
- 표준 번역 용어(?) 사용 (서평?)
- 필요한 경우 원어를 그대로 사용 (review)
고유 명사
해당 기관이 한국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이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하지만 없는 경우는 다음을 고려할 것
- 원어 그대로 적음 (예: Windows)
-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음을 한글로 옮겨 적음 (윈도우즈)
- 표준 외래어 표기법대로 적음 (윈도)
논의 사안
필요 사항
- 번역 용어 정리 - 한곳에 정리된 우분투 한글화 단어집
- 런치패드 번역 가이드 - 우분투 번역을 하고싶은 입문자들에게 가이드를 제공
차후 계획
http://help.ubuntu.com 한국어 버전 제공
우분투 메뉴얼(http://ubuntu-manual.org/, https://translations.edge.launchpad.net/ubuntu-manual/) 번역
- 업스트림 번역팀과 활동 연계
참고 문서
UbuntuKoreanTranslators (last edited 2017-08-31 04:54:41 by minwook-shin)